티스토리 뷰
목차
청년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생각해보는 내 집 마련, 결혼 자금, 창업 자금. 하지만 막막하기만 한 자산 형성, 혼자 감당하긴 벅차죠. 그런 청년들을 위해 정부가 직접 자산 형성에 도움을 주는 금융상품이 있습니다. 바로 청년도약계좌입니다.
2025년부터 더욱 새로워진 청년도약계좌 개편 내용, 지원금 확대, 신청 조건, 혜택 강화까지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34세 이하 청년이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매칭해주는 지원금을 함께 적립해주는 정책성 금융 상품입니다.
- 최대 월 70만 원 저축 가능
- 정부 지원금 + 이자 + 비과세 혜택
- 5년 유지 시 최대 5,000만 원 이상 수령 가능
2025년부터는 지원 금액이 확대되고, 유지 기간에 따른 혜택도 대폭 강화되어 훨씬 유리하게 바뀌었습니다.
1. 2025년 기여금 지원 확대
2025년부터는 개인소득 수준에 따라 최대 월 3.3만 원까지 지원되며, 납입한 만큼 전액 기여금이 지급되는 구조로 바뀝니다.
기여금 지원금 비교 (기존 vs 2025년 개편)
📌 연 소득 2,400만 원 이하
- 기존 : 월 24,000원 지원
- 2025년 : 월 33,000원 지원
📌 연 소득 2,400만 초과 ~ 3,600만 원 이하
- 기존 : 월 23,000원 지원
- 2025년 : 월 29,000원 지원
📌 연 소득 3,600만 초과 ~ 4,800만 원 이하
- 기존 : 월 22,000원 지원
- 2025년 : 월 25,000원 지원
📌 연 소득 4,800만 초과 ~ 6,000만 원 이하
- 기존 : 월 21,000원 지원
- 2025년 : 월 21,000원 (변동 없음)
📈 일반 적금상품 대비 최대 연 9.54% 수익률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3년 이상 유지 시 혜택 강화
기존에는 5년 만기까지 유지해야 세금과 기여금 혜택이 적용되었지만, 2025년부터는 3년 이상 유지한 청년도 중도해지 시에도 60%까지 혜택 유지가 가능합니다.
중도 해지자도 세제 혜택과 기여금 일부 수령 가능하며, 비자발적 해지(병역, 건강, 가족사 등) 시에는 조건이 더 유리하게 적용됩니다.
연 수익률 최대 7.64%로 일반 상품보다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성실납입 시 신용점수 가점 혜택
2년 이상, 연 800만 원 이상 성실 납입한 경우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이 부여됩니다.
- NICE, KCB 기준 최소 5~10점 가점
- 청년도약계좌 납입 내역은 마이데이터를 통해 자동 연동
- 신용평가사에 기록되어 신용 등급 개선 효과 기대 가능
4. 부분 인출 서비스 가능
기존에는 만기 전까지는 부분 인출이 불가능했지만, 2025년부터는 2년 이상 유지 시 납입 원금의 최대 40%까지 부분 인출이 가능합니다.
학자금, 이사비, 병원비 등 불가피한 지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더 실용적입니다.
신청 조건 요약
- 나이 : 만 19세~34세 이하 (군복무 기간 제외)
- 총급여 : 직전 연도 기준 7,500만 원 이하
- 가구 중위소득 250% 이하
신청 방법 및 일정
- 신청 기간 : 2025년 7월 1일 ~ 7월 11일 (9영업일)
- 신청 방법 :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11개 은행 앱을 통해 신청
- 계좌 개설 일정 :
· 1인 가구: 7월 17일부터
· 2인 이상 가구: 7월 28일부터
※ 1인당 1계좌만 개설 가능하며,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입 불가
정리 : 2025 청년도약계좌 이래서 꼭 신청!
- 정부 지원금 최대 3.3만 원까지 확대
- 3년 이상 유지 시에도 일부 혜택 유지
- 신용 점수 가점으로 금융 혜택까지
- 필요 시 부분 인출 가능으로 유연성 확보
5년 후 5천만 원의 자산 형성 기회, 정부가 도와주는 청년 금융정책을 꼭 활용해 보세요!